아미타여래 좌상

국보
헤이안시대
조초 작품 277.2cm 목조 ※건축물 칠박

아미타여래 좌상

음성가이드 재생 중

※음성가이드는 가지고 계신 이어폰을 끼고 이용하여 주시고, 다른 관람객에게 피해가 가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국보인 뵤도인의 아미타불(아미타여래)은 거의 천 년동안 봉황당의 연꽃을 본뜬 대좌(臺座) 위에 앉아 이곳을 지켜 왔습니다. 아미타불은 한쪽 다리를 접어서 반대편 다리 위에 올리고, 눈꺼풀은 살짝 아래로 내려와 자신을 바라보는 사람들을 똑바로 내려다보고 있습니다. 아미타불의 부드러운 얼굴, 곧추세운 허리, 수인을 만든 손이 편안한 집중력을 만들어냅니다. 아미타상은 후지와라노 요리미치(992-1074)가 뵤도인을 창건한 이듬해인 1053년에 완공되었습니다. 정토신앙의 다른 신도들과 마찬가지로 그 또한 말법 시대(‘계율의 종말’)가 다가오고 있음을 두려워했습니다. 신도들은 말법 시대에 불교의 가르침이 쇠락하고 재난재해로 토지가 황폐해질 것이라 믿었습니다. 후지와라노 요리미치는 자신이 아미타의 서방 극락정토에 닿을 것을 기대하며 신앙의 증표로 아미타상의 제작을 명했습니다. 2.8m에 이르는 아미타상은 불상 조각가로 이름을 떨친 조초(?-1057)가 직접 만든, 현존하는 유일한 헤이안시대(794-1185) 작품입니다. 조초의 영향력은 컸습니다. 그가 제작한 뵤도인 아미타당은 그 후 2세기에 걸쳐 불상 제작의 기준이 되었습니다. 조초와 그의 제자들은 목재를 짜맞추는 ‘요세기 즈쿠리‘라는 기술을 이용하여 이 아미타를 제작했습니다. 이 기술은 보다 크고 보다 가볍고 보다 내구성이 좋은 조각상을 만들기 위해 보다 작은 목재들을 파내서 조각한 다음 서로 결합합니다. 조초와 그의 제자들은 각각의 편백나무 부재를 하나로 조립한 후 조각상의 관절부분에 옻과 금박을 칠했습니다. 최종 공정에서는 짜맞춘 나무의 이음매를 지우고 황금의 찬란함을 더했습니다.

    만족도

    이해도

    추천 의향

    매력도

    • 뵤도인 봉황당

      平等院鳳凰堂

      뵤도인 봉황당

    • 아미타여래 좌상

      阿弥陀如来坐像

      아미타여래 좌상

    • 뵤도인 관음당

      平等院観音堂

      뵤도인 관음당

    • 목조 십일면관음 입상

      木造十一面観音立像

      목조 십일면관음 입상

    • 뵤도인 정원

      平等院庭園

      뵤도인 정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