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조 십일면관음 입상

중요문화재
헤이안시대
167.2cm 목조 ※불상・조각 채색

목조 십일면관음 입상

음성가이드 재생 중

※음성가이드는 가지고 계신 이어폰을 끼고 이용하여 주시고, 다른 관람객에게 피해가 가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십일면관음은 12세기 무렵 지어진 관음당을 상징하는 중요한 상징물이다. 관음은 동정의 보살이며, 불교에서 자주 자비의 여신이라 불린다. 이 조각상은 11세기에 만들어졌는데, 비교적 넓은 어깨와 가는 허리 등 덴표문화(710-794) 초기 불상의 특징을 엿볼 수 있다. 이 조각상은 뵤도인 창건에 앞서서 지어진 관음당의 일부였을 가능성도 있다. 이처럼 관음을 표상하는 조각상의 11개 얼굴은 보살의 깨달음의 길 10단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이며, 가장 위쪽에 있는 11번째는 불성을 상징한다. 그러나 다른 십일면관음상과는 달리 이 조각상에는 머리 뒤쪽에 웃는 얼굴이 없다. 높이는 167.2cm로, 주로 하나의 목재를 이용하여 조각했다. 왼손에 연꽃이 든 화병을 들고 있고, 오른손은 아래를 향하여 기도를 들어주고 있다. 나뭇잎 모양의 촘촘한 프레임이 그림자를 드리우고, 조각상 자체의 복잡한 특징을 강조한다.

    만족도

    이해도

    추천 의향

    매력도

    • 뵤도인 봉황당

      平等院鳳凰堂

      뵤도인 봉황당

    • 아미타여래 좌상

      阿弥陀如来坐像

      아미타여래 좌상

    • 뵤도인 관음당

      平等院観音堂

      뵤도인 관음당

    • 목조 십일면관음 입상

      木造十一面観音立像

      목조 십일면관음 입상

    • 뵤도인 정원

      平等院庭園

      뵤도인 정원